자료실
HOME > 자료실 > 자료실
 
작성일 : 12-12-25 11:04
산만한 아이
 글쓴이 : 관리자
 A :
 A :
 A :
 A :

산만한 아이

차분한 놀이보다 활동적인 놀이가 좋다!!!

첫째, 아이가 지능 발육이 더디다거나, 정서 및 발달 장애가 있다거나, 언어 발달이 지연되고 있다거나, 주의력 결핍 혹은 과잉 행동 장애 등이 있는지를 정확히 진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아이의 증세가 아주 심하거나, 정신 지체나 자폐증이 있으면서 과잉 행동이 수반되는 경우에는 약을 처방해야 합니다. 약을 먹음으로써 아이가 차분히 사물에 집중하게 되어, 행동 교정과 교육의 효과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약 처방이 아닌, 교육이나 양육 방법으로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대개 이런 아이들은 생활이 불규칙한 경우가 많은데 일상 생활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자고 일어나는 시간이 규칙적일 필요가 있습니다.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습관을 갖게 함으로써 하루 전체의 생활이 차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지요.

셋째, 놀이 방법으로 치료하자면 몇 가지 원칙이 있어야 합니다. 먼저, 한두 가지 항목에서 엄격한 통제를 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다른 아이를 괴롭힌다든지, 멀리 마구 달려간다든지 할 때에는 매를 들어서라도 엄격하게 막아야 합니다. 활동적인 아이에게 적합한 놀이로는, 차분히 앉아서 하는 놀이보다는 공놀이나 물놀이, 태권도 같은 활동적인 놀이가 더 좋습니다. 예를 들어 태권도는 규칙이 엄격하고, 일정한 구령에 맞추어 몸을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아이가 자기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울 수 있습니다.

넷째, 언어 문제로 왜 말을 못하느냐고 너무 걱정을 하거나 아이를 윽박지르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습니다. 아이 스스로가 친구들과 놀면서 혹은 엄마와의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의사 표현을 하게끔 유도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예를 들면, 엄마가 아이와 함께 그림책을 읽는 방법도 좋습니다.

너무 야단치면 오히려 역효과...

이 때 중요한 것은 너무 간섭하고 야단치다 보면 아이가 반항적인 태도를 갖게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우선 아이가 잘한 행동을 찾아서 칭찬해주도록 하고, 웬만한 문제 행동은 못 본 체 무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심한 행동을 할 때에는 꾸준히 제지하여 바꿔 나가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왜 그러는지 정확한 이유를 밝혀내야 합니다.

출처; http://kr.blog.yahoo.com/lydia_with_bliss/365968.html?p=1&pm=l


 
   
 

0/80byte
Top
주소 : 서울. 광진구 능동로 330 우진빌딩 2층
사업자번호 : 206-93-64297 센터명 : 반올림 심리교육센터 대표자 : 김영임 센터장
전화 : 02-462-7986 FAX : 02-462-7987
  Copyright ⓒ www.banolrim.co.kr All rights reserved.